728x90
반응형

국보 60호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 Celadon Incense Burner with Lion-shaped Lid )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위치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개요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수량/면적 1점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시대(12세기 전반)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설명

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로, 높이 21.2㎝, 지름 16.3㎝이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사자 모양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3개의 짐승모양을 한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데, 전면에 구름무늬가 가늘게 새겨져 있다. 몸체 윗면 가장자리에도 세 곳에 구름무늬를 배치하였다.

뚜껑은 대좌에 앉아있는 사자의 형상이며, 대좌에는 꽃무늬를 시문하였다. 사자의 자세는 뚜껑의 왼쪽에 치우쳐 있어 시각적인 변화에서 오는 조형효과를 노린 것으로 해석된다. 사자는 입을 벌린 채 한쪽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앞을 보고 있는 자세이며, 두 눈에 검은 점을 찍어서 눈동자를 표현했다. 사자의 목 뒤쪽과 엉덩이 부분에는 소용돌이 모양의 털이 표현되었고, 꼬리는 위로 추켜올려 등에 붙인 모습을 하고 있다.

유약의 색은 엷은 녹청색으로 광택이 은은하다. 구조적으로 보면 몸체에서 피워진 향의 연기가 사자의 몸을 통하여 벌려진 입으로 내뿜도록 되어있는데, 아름답고 단정하여 이 시기 청자향로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12세기 전반기에 비취색의 청자가 절정에 달하였을 때 이와 같이 상서로운 동물이나 식물을 본뜬 상형청자가 많이 만들어졌다. 특별히 사자향로는 중국 송나라 사람들이 극찬을 하였을 정도로 작품성이 뛰어나다.

향로-상부
향로-하부
향로-세부모습

 

 출처-문화재청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국보-059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국보 59호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Stele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위치 강원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산 70번지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today-culture.tistory.com

 

청자 어룡형 주전자

 

국보-061 청자 어룡형 주전자

국보 61호 청자 어룡형 주전자 ( Celadon Ewer in the Shape of a Fish-dragon ) 청자 어룡형 주전자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어룡형 주전자 개요 분류 유물/생

today-culture.tistory.com

 

728x90
반응형
today-culturehi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