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37호 경북 황복사지 삼층석탑

(Three-story Stone Pagoda at Hwangboksa Temple Site, Gyeongju)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100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100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경주시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설명

통일신라 신문왕이 돌아가신 후 그 아들인 효소왕이 아버지의 명복을 빌고자 세운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며,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국보)이나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에 비해 작은 규모이다.

 

기단의 양식은 두 탑과 거의 비슷하나, 기단의 각 면에 새겨진 가운데 기둥이 3개에서 2개로 줄어 있다. 탑신부도 여러 개의 돌로 짜 맞추는 대신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어, 달라진 석탑의 양식을 보여준다. 지붕돌은 윗면이 평평하고 네 귀퉁이가 살짝 올라가 경쾌하며,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을 두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효소왕 1년(692)에 세워진 탑으로, 이후 효소왕의 뒤를 이은 성덕왕이 즉위한 지 5년만인 706년에 사리와 불상 등을 다시 탑 안에 넣어 앞의 두 왕의 명복을 빌고, 왕실의 번영과 태평성대를 기원하였다. 1942년 착수된 탑 해체수리 과정에서 2층 지붕돌 안에서 금동 사리함과 금동 불상 2구를 비롯하여 많은 유물을 발견하였는데, 그중 사리함 뚜껑 안쪽에 탑을 건립하게 된 경위와 발견된 유물의 성격이 기록되어 있어 탑의 건립 연대와 조성 의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모습이면서도 전기 석탑양식의 변화과정이 잘 담겨져 있어 소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삼층석탑-상륜부
삼층석탑-상대석

 출처-문화재청

 

 

 

상원사 동종

 

국보-036 상원사 동종

국보 36호 상원사 동종 (Bronze Bell of Sangwonsa Temple) 상원사 동종 위치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20, 상원사 상원사 동종 개요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1962.12.

today-culture.tistory.com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국보-038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국보 38호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Three-story Stone Pagoda at Hwangboksa Temple Site, Gyeongju)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위치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인왕동)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개요

today-culture.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