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Twin Lion Stone Lantern of Beopjusa Temple, Boeun)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위치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사내리)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석등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사내리)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소유단체) 법주사
관리자(관리단체) 법주사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설명

 

1. 안내판 설명

신라 석등 중 뛰어난 작품 중의 하나로 조성 연대는 성덕왕 19년720으로 추정되고 있다. 높이가 3.3m로 널따란 8각의 바닥돌 위에 사자 조각이 올려져 있다. 사자 두 마리가 서로 가슴을 맞대고 뒷발로 아랫돌을 디디고 서서 앞발과 주둥이로는 윗돌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석등의 구조는 8각의 지대석에서 하대 연화석과 쌍사자, 연화상대석을 따로 조각하여 쌓아 올리지 않고 하나의 돌에 조각하였으며 다른 석등들에 비해 화사석과 옥개석이 큰 것이 특징이다.

 

2. 문화재 설명

법주사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등으로, 사자를 조각한 석조물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으며 매우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널따란 8각의 바닥돌 위에 올려진 사자 조각은 두 마리가 서로 가슴을 맞대고 뒷발로 아래돌을 디디고 서서 앞발과 주둥이로는 윗돌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아랫돌과 윗돌에는 각각 연꽃을 새겨 두었는데, 윗돌에 두 줄로 돌려진 연꽃무늬는 예스러운 멋을 풍기며, 현재 남아있는 사자조각들 가운데 가장 뛰어나 머리의 갈기, 다리와 몸의 근육까지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은 8각으로 높직하며, 네 곳에 창을 내어 불빛이 새어 나오도록 하였다. 지붕돌은 처마밑이 수평을 이루다가 여덟 귀퉁이에서 위로 살짝 들려 있는데, 꾸밈을 두지 않아서인지 소박하고 안정되어 보인다.

 

석등을 세운 시기는 통일신라 성덕왕 19년(720)으로 추측되며, 조금 큰듯한 지붕돌이 넓적한 바닥돌과 알맞은 비례를 이루어 장중한 품격이 넘친다. 통일신라의 석등이 8각 기둥을 주로 사용하던 것에 비해 두 마리의 사자가 이를 대신하고 있어 당시로서는 상당히 획기적인 시도였을 것으로 보이며, 통일신라는 물론 후대에 가서도 이를 모방하는 작품이 나타났다. 같은 절 안에 있는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보물)과 함께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출처-문화재청

 

 

 

여주 고달사지 승탑

 

국보-004 여주 고달사지 승탑

국보 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 (Stupa at Godalsa Temple Site, Yeoju) 여주 고달사지 승 위치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1-1 여주 고달사지 승탑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1기

today-culture.tistory.com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국보-006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국보 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Seven-story Stone Pagoda in Tappyeong-ri, Chungju)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위치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

today-culture.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