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Five-story Stone Pagoda at Jeongnimsa Temple Sire, Buyeo)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위치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83(부여읍,정림사지) 정림사지 박물관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개요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 |||
수량/면적 | 1기 | |||
지정(등록)일 | 1962.12.20 | |||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83(부여읍,정림사지) 정림사지박물관 | |||
시대 | 백제시대 후기 7세기 |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
관리자(관리단체) | 부여군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설명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표현하는 목조건물의 배흘림기법을 이용하였다. 얇고 넓은 지붕돌은 처마의 네 귀퉁이에서 부드럽게 들려져 단아한 자태를 보여준다.
좁고 얕은 1단의 기단과 배흘림기법의 기둥표현, 얇고 넓은 지붕돌의 형태 등은 목조건물의 형식을 충실히 이행하면서도 단순한 모방이 아닌 세련되고 창의적인 조형을 보여주며, 전체의 형태가 매우 장중하고 아름답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과 함께 2기만 남아있는 백제시대의 석탑이라는 점에서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며, 세련되고 정제된 조형미를 통해 격조 높은 기품을 풍기고 있는 아름다운 작품이다.
출처-문화재청
국보-008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국보 8호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Stele of Buddhist Monk Nanghye at Seongjusa Temple Site, Boryeong))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위치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8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
today-culture.tistory.com
국보-010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국보 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Three-story Stone Pagoda at Baekjangam Hermitage of Silsangsa Temple, Namwon) 남원 실상사 백암장 삼층석탑 위치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 남원 실상사 백암장 삼
today-culture.tistory.com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011 익산 미륵사지 석탑 (0) | 2023.02.18 |
---|---|
국보-010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0) | 2023.02.17 |
국보-008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0) | 2023.02.15 |
국보-007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0) | 2023.02.14 |
국보-006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