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52호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Janggyeongpanjeon Depositories of Haeinsa Temple, Hapcheon)

해인사-장경판전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위치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치인리)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기타
수량/면적 4동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치인리)
시대 조선 성종19년(1488)
소유자(소유단체) 해인사
관리자(관리단체) 해인사

 

합천 해인사 장경판 설명

가야산 중턱에 자리 잡은 해인사는 통일신라 애장왕 3년(802)에 지은 사찰로, 왕후의 병을 부처의 힘으로 치료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지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이며, 8만대 장경을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법보사찰이라고도 부른다.

장경판전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8만여장의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해인사에 남아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되었다.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조선 세조 3년(1457)에 크게 다시 지었고 성종 19년(1488)에 학조대사가 왕실의 후원으로 다시 지어 ‘보안당’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산속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어 임진왜란에도 피해를 입지 않아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광해군 14년(1622)과 인조 2년(1624)에 수리가 있었다.

앞면 15칸·옆면 2칸 크기의 두 건물을 나란히 배치하였는데, 남쪽 건물은 ‘수다라장’이라 하고 북쪽의 건물은 ‘법보전’이라 한다. 서쪽과 동쪽에는 앞면 2칸·옆면 1칸 규모의 작은 서고가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긴 네모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장경판을 보관하는 건물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장식 요소는 두지 않았으며, 통풍을 위하여 창의 크기를 남쪽과 북쪽을 서로 다르게 하고 각 칸마다 창을 내었다. 또한 안쪽 흙바닥 속에 숯과 횟가루, 소금을 모래와 함께 차례로 넣음으로써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자연의 조건을 이용하여 설계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점 등으로 인해 대장경판을 지금까지 잘 보존할 수 있었다고 평가 받고 있다.

해인사장경판전은 15세기 건축물로서 세계 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며, 대장경판과 고려각판을 포함하여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해인사
현판
입구
장경판

 

 출처-문화재청

 

 

 

강릉 임영관 삼문

 

국보-051 강릉 임영관 삼문

국보 51호 강릉 임영관 삼문 (Main Gate of Imyeonggwan Guesthouse, Gangneung) 강릉 임영관 삼문 위치 강원 강릉시 임영로 131번 길 6 강릉 임영관 삼문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권, 관아/관아 수량/면

today-culture.tistory.com

 

구례 연사 동 승탑

 

국보-053 구례 연사 동 승탑

국보 53호 구례 연곡사 동 승탑 (East Stupa of Yeongoksa Temple, Gurye) 구례 연곡사 동 승탑 위치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내동리) 구례 연곡사 동 승탑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

today-culture.tistory.com

 

728x90
반응형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054 구례 연곡사 북 승탑  (0) 2023.09.29
국보-053 구례 연사 동 승탑  (0) 2023.09.27
국보-051 강릉 임영관 삼문  (0) 2023.09.25
국보-050 영암 도갑사 해탈문  (0) 2023.09.24
국보-049 예산 수덕사 대웅전  (0) 2023.09.23
today-culturehi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