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40호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Thirteen-story Stone Pagoda at Jeonghyesa Temple Site, Gyeongju)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위치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54번지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54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경주시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 설명

경주 정혜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흙으로 쌓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1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인데, 통일신라시대에서는 그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이다.

 

1층 탑몸돌이 거대한데 비해 2층부터는 몸돌과 지붕돌 모두가 급격히 작아져서 2층 이상은 마치 1층탑 위에 덧붙여진 머리장식처럼 보인다. 큰 규모로 만들어진 1층 몸돌은 네 모서리에 사각형의 돌기둥을 세웠으며, 그 안에 다시 보조기둥을 붙여 세워 문을 만들어 놓았다. 이렇듯 문을 마련해 놓은 것은 열린 공간을 추구하고자 한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을 조각이 아닌 별개의 다른 돌로 만들어 놓았고, 직선을 그리던 처마는 네 귀퉁이에 이르러서 경쾌하게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 즈음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측되는 이 탑은 13층이라는 보기 드문 층수에, 기단부 역시 일반적인 양식에서 벗어나 당시의 석탑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비교적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1층을 크게 부각한 후 2층부터 급격히 줄여나간 양식으로 인해 탑 전체에 안정감이 느껴진다.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감실부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상륜부

 출처-문화재청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국보-039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국보 39호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Five-story Stone Pagoda in Nawon-ri, Gyeongju)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위치 경북 경주시 현곡면 라원리 676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

today-culture.tistory.com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국보-041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국보 41호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Iron Flagpole at Yongdusa Temple Site, Cheongju)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위치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48-19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

today-culture.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