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13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Geungnakbojeon Hall of Muwisa Temple, Gangjin)

강진-무위사-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위치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무위사(월하리)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수량/면적 1동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월하리)
시대 조선 세종 12년(1430)
소유자(소유단체) 무위사
관리자(관리단체) 무위사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설명

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관음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은 절로,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공사가 진행되면서 이름도 무위사로 바뀌게 되었다.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보전은 세종 12년(1430)에 지었으며, 앞면 3칸 · 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조각이 매우 세련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극락보전 안에는 아미타삼존불과 29점의 벽화가 있었지만, 지금은 불상 뒤에 큰 그림 하나만 남아 있고 나머지 28점 전시관에 보관하고 있다. 이 벽화들에는 전설이 전하는데, 극락전이 완성되고 난 뒤 한 노인이 나타나서는 49일 동안 이 법당 안을 들여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법당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49일째 되는 날, 절의 주지스님이 약속을 어기고 문에 구멍을 뚫고 몰래 들여다보자, 마지막 그림인 관음보살의 눈동자를 그리고 있던 한 마리의 파랑새가 입에 붓을 물고는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그림 속 관음보살의 눈동자가 없다.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고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받고 있다.  

 

극락보전-현판
무위사-측면
무위사-사진

 출처-문화재청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국보-012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국보 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Stone Lantern at Gakhwa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Gurye)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위치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황전리)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today-culture.tistory.com

 

영천 거조사 영산전

 

국보-014 영천 거조사 영산전

국보 14호 영천 거조사 영산전 (Yeongsanjeon Hall of Geojosa Temple, Yeongcheon) 영천 거조사 영산전 위치 경북 영천시 청통면 거조리 400-67, 은해사 거조암(신원리) 영천 거조사 영산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

today-culture.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