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15호 안동 봉정사 극락전

(Geungnakjeon Hall of Bongjeonsa Temple, Andong)

안동-봉정사-극락전

 

안동 봉정사 극락전 위치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봉정사(태장리)


 

안동 봉정사 극락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수량/면적 1동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봉정사(태장리)
시대 고려시대 후기
소유자(소유단체) 봉정사
관리자(관리단체) 봉정사

 

안동 봉정사 극락전 설명

봉정사(鳳停寺)는 672년(신라 문무왕 12) 능인대사(能仁大師)에 의하여 창건되었다는 전설이 전하는데, <극락전 중수상량문>등 발견된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보면 7세기 후반 능인대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극락전은 원래 대장전이라고 불렀으나 뒤에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1927년 보수공사 때 고여 공민왕 12년(1363)에 지붕을 크게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담긴 상량문을 발견하였는데, 우리 전통 목조건물은 신축 후 지붕을 크게 수리하기까지 통상적으로 100 ~ 150년이 지나야 하므로 건립연대를 1200년대 초로 추정할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보고 있다.

 

앞면 3칸 · 옆면 4칸 크기에,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기둥은 배흘림 형태이며, 처마 내밀기를 길게 하기 위해 기둥 위에 올린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건물 안쪽 가운데에는 불상을 모셔놓고 그 위로 불상을 더욱 엄숙하게 꾸미는 화려한 닫집을 만들었다. 또한 불상을 모신 불단의 옆면에는 고려 중기 도자기 무늬와 같은 덩굴무늬를 새겨 놓았다.

 

봉정사 극락전은 통일신라시대 건축양식을 본받고 있다.

 

극락전-현판
극락전-측면
극락전-처마

 출처-문화재청

 

 

 

영천 거조사 영산전

 

국보-014 영천 거조사 영산전

국보 14호 영천 거조사 영산전 (Yeongsanjeon Hall of Geojosa Temple, Yeongcheon) 영천 거조사 영산전 위치 경북 영천시 청통면 거조리 400-67, 은해사 거조암(신원리) 영천 거조사 영산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

today-culture.tistory.com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국보-016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국보 16호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Seven-story Brick Pagoda at Beopheungsa Temple Site, Andong)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위치 경북 안동시 법흥동 8-1번지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

today-culture.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