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56호 순천 송광사 국사전
( Guksajeon Shrine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순천 송광사 국사전 위치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신평리)
순천 송광사 국사전 개요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 |||
수량/면적 | 1동 | |||
지정(등록)일 | 1962.12.20 | |||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신평리) | |||
시대 | 조선시대 초기 | |||
소유자(소유단체) | 송광사 | |||
관리자(관리단체) | 송광 |
순천 송광사 국사전 설명
조계산에 있는 송광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매우 유서 깊은 절이다. ‘송광’이라는 절 이름은 조계산의 옛 이름인 송광산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절을 언제 세웠는지 정확한 자료는 없고 신라 말기에 체징이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송광사 국사전은 나라를 빛낸 큰 스님 16분의 영정을 모시고 그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건물로, 옛날에는 참선을 하던 곳이었다. 고려 공민왕 18년(1369)에 처음 지었고, 그 뒤 두 차례에 걸쳐 보수하였다.
앞면 4칸·옆면 3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건물 안의 천장은 우물 정(井) 자 모양의 천장으로 꾸미고 연꽃무늬로 장식하였는데, 천장의 연꽃무늬와 대들보의 용무늬는 건물을 지을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건축 구조상 조선 초기 양식을 지니고 있는 이 건물은 순천 송광사 하사당(보물)과 같은 시대에 지은 것으로 짐작되며, 소박하고 아담한 형태와 그 기법에서도 주심포 중기 형식의 표준이라고 할 만한 중요한 건축물이다.




출처-문화재청
국보-055 보은 법주사 팔상전
국보 55호 보은 법주사 팔상전 ( Palsangjeon Wooden Pagoda of Beopjusa Temple, Boeun ) 보은 법주사 팔상전 위치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사내리) 보은 법주사 팔상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
today-culture.tistory.com
국보-057 화순 쌍봉사 철갑선사탑
국보 57호 화순 쌍봉사 철갑선사탑 ( Stupa of Master Cheolgam at Ssangbongsa Temple, Hwasun ) 화순 쌍봉사 철갑선사탑 위치 전남 화순군 쌍산의로 459(이양면, 쌍봉사) 화순 쌍봉사 철갑선사탑 개요 분류 유적
today-culture.tistory.com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058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0) | 2023.10.03 |
---|---|
국보-057 화순 쌍봉사 철갑선사탑 (0) | 2023.10.02 |
국보-055 보은 법주사 팔상전 (0) | 2023.09.30 |
국보-054 구례 연곡사 북 승탑 (0) | 2023.09.29 |
국보-053 구례 연사 동 승탑 (0) | 202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