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55호 보은 법주사 팔상전 

( Palsangjeon Wooden Pagoda of Beopjusa Temple, Boeun )

법주사 팔상전

 

보은 법주사 팔상전 위치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사내리)

 


 

보은 법주사 팔상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1동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사내리)
시대 조선 인조 2년(1625)
소유자(소유단체) 법주사
관리자(관리단체) 법주사

 

보은 법주사 팔상전 설명

안내판 설명

보은 법주사 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

국보

 

보은 법주사 팔상전은 석가모니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捌相殿)를 모시고 있는 5층 목조탑이다. 법주사를 처음 만들 때 세워진 것으로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사라진 것을 선조 38년(1605)부터 인조 4년(1626)에 걸쳐 벽암 대사가 주관하여 다시 세웠다. 팔상전은 두 단의 석조 기단 위에 세워져 있고 기단 네 면의 중앙에는 돌계단이 있다. 이 기단과 계단은 통일 신라 때의 것이다. 각 층의 밑면은 정사각형이며, 1층과 2층은 다섯 칸, 3층과 4층은 세 칸, 5층은 두 칸으로 위로 올라갈수록 너비가 줄어들어 안정감을 준다.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는 공포*는 1층부터 4층까지는 주심포식**이고 5층은 다포식***이다. 지붕은 꼭대기를 중심으로 네 개의 지붕면이 뻗어 있는 사모지붕이며 지붕 위 꼭대기 부분은 조선 시대의 것으로 지금까지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팔상전 내부 한가운데에는 5층 전체를 통과하는 기둥이 있다. 이 기둥의 네 면에는 팔상도가 두 폭씩 있고 그 앞에는 열반상과 삼존 불상이 있다. 법주사 팔상전은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목조탑으로 건축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된다.

 

*공포 : 처마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 데 짜 맞추어 댄 나무 부재

**주심포식 : 공포를 기둥 위에만 배열한 것

***다포식 : 기둥 상부 이외에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열한 건축양식

 

문화재 설명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인도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온 승려 의신이 처음 지은 절이다. 법주사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짓고 1968년에 해체·수리한 것이다. 벽 면에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八相圖)가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 이름 붙였다.

1층과 2층은 앞·옆면 5칸, 3·4층은 앞·옆면 3칸, 5층은 앞·옆면 2칸씩으로 되어 있고, 4면에는 돌계단이 있는데 낮은 기단 위에 서 있어 크기에 비해 안정감을 준다. 지붕은 꼭대기 꼭짓점을 중심으로 4개의 지붕면을 가진 사모지붕으로 만들었으며, 지붕 위쪽으로 탑 형식의 머리장식이 달려 있다.

건물의 양식 구조가 층에 따라 약간 다른데, 1층부터 4층까지는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공포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고, 5층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설치한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건물 안쪽은 사리를 모시고 있는 공간과 불상과 팔상도를 모시고 있는 공간, 그리고 예배를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법주사 팔상전은 지금까지 남아 있는 우리 나라의 탑 중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며 하나뿐인 목조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법주사
서쪽 측면
팔상전 2층 공포
상부

 

 출처-문화재청

 

 

 

 

구례 연곡사 북 승탑

 

국보-054 구례 연곡사 북 승탑

국보 54호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North Stupa of Yeongoksa Temple, Gurye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위치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내동리) 구례 연곡사 북 승탑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

today-culture.tistory.com

 

순천 송광사 국사전

 

국보-056 순천 송광사 국사전

국보 56호 순천 송광사 국사전 ( Guksajeon Shrine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순천 송광사 국사전 위치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신평리) 순천 송광사 국사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

today-culture.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