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64호 보은 법주사 석련지

( Stone Lotus Basin of Beopjusa Temple, Boeun )

보은 법주사 석련지

 

보은 법주사 석련지 위치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9, 법주사(사내리)

 


 

보은 법주사 석련지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기타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9, 법주사(사내리)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소유단체) 법주사
관리자(관리단체) 법주사

 

보은 법주사 석련지 설명

안내판 설명

보은 법주사 석련지

報恩 法住寺 石蓮池

국보

 

신라 성덕왕 19년(720년) 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1.95m, 둘레 6.65m에 이르는 희귀한 석조조형물이다. 8각의 받침석 위에 3단의 굄과 한 층의 복련대를 더하고 그 위에 구름무늬로 장식된 간석을 놓아 거대한 석련지를 떠받쳐 마치 연꽃이 둥둥 뜬 듯한 모습을 표현한 걸작품이다. 전체적인 조형 수법은 기발한 착상에 의한 것이며 특히 동자주(난간의 짧은 기둥)의 형태는 불국사 다보탑의 석 난간 동자주와 유사하다.

 

문화재 설명

법주사 천왕문을 들어서면 동쪽에 위치한 돌로 만든 작은 연못으로, 연꽃을 띄워 두었다고 한다. 불교에서의 연꽃은 극락세계를 뜻하여 사찰 곳곳에서 이를 본뜬 여러 형상들을 만날 수 있다.

석련지는 8각의 받침돌 위에 버섯 모양의 구름무늬를 새긴 사잇돌을 끼워서 큼지막한 몸돌을 떠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몸돌은 커다란 돌의 내부를 깎아 만들었는데, 반쯤 피어난 연꽃 모양을 하고 있어 그 쓰임과 잘 어울리며, 외부의 곡선과도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표면에는 밑으로 작은 연꽃잎을 돌려 소박하게 장식하였고, 윗부분에는 큼지막한 연꽃잎을 두 겹으로 돌린 후 그 안으로 화사한 꽃무늬를 새겨두었는데, 현재는 균열되어 철제 꺾쇠로 연결해 놓았다. 입구 가장자리에는 낮은 기둥을 세워 둥글게 난간을 이루었는데, 그 위로도 짧은 기둥을 새긴 후 난간 모양이 되도록 조각해 놓아 마치 난간이 두 줄로 된 듯하다. 윗난간에 세워진 기둥은 아주 기발한 착상이라 할 수 있는데, 불국사 다보탑에 새겨진 돌난간의 기둥과도 비슷하여 예스러움을 간직하고 있다. 밑의 난간벽에는 여러 가지 무늬를 새겨 놓아 화려함을 한층 더 살려준다.

8세기경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절제된 화려함 속에 우아함이 피어나는 아름다운 자태는 석련지의 대표작이라 불리울 만하다.

석련지
난간석

 

 출처-문화재청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063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 63호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Iron Seated Vairocana Buddha of Dopiansa Temple, Cheorwon )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위치 강원도 철원군 도피동길 23(동송읍, 도피안사) 철원 도피안

today-culture.tistory.com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국보-065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국보 65호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 Celadon Incense Burner with Girin-shaped Lid )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성북동, 간송미술관)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개요 분류 유물/생

today-culture.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