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보 71호 동국정운 권 1,6

( Dongguk jeongun (Standard Rhymes of the Eastern State), Volumes 1 and 6 )

동국정운

 

동국정운 권 1,6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동국정운 권 1,6 개요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활자본/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책
지정(등록)일 1962.12.20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시대 조선 세종 30년(1448)
소유자(소유단체) ****
관리자(관리단체) 간송미술관

 

동국전운 권 1,6 설명

조선 세종 때 신숙주, 최항, 박팽년 등이 왕의 명으로 편찬하여 세종 30년(1448)에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으로, 6권 6 책의 활자본이다.

중국의 운(韻)에 관한 책인 『홍무정운』에 대비되는 것으로, ‘동국정운’이란 우리나라의 바른 음이라는 뜻이다. 당시 혼란스럽던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바로잡아 통일된 표준음을 정하려는 목적으로 편찬, 간행되었다.

이 책은 세종 29년(1447) 9월에 완성되자 간행하라는 임금의 명이 있었고, 이듬해인 세종 30년(1448) 11월에 성균관, 사부학당 등에 보급되어, 이 책이 간행되고 보급되었던 시기를 알 수 있다.

현재 이 책은 전 6권 가운데 1권과 6권만이 남아있다. 내용을 보면 본문의 큰 글자는 나무활자이고, 작은 글자와 서문의 큰 글자는 갑인자이다. 글자체는 큰 글자가 진양대군의 글씨이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한자음을 우리의 음으로 표기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국어연구자료로서의 중요성도『훈민정음』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한 한자음의 음운체계 연구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훈민정음의 글자를 만든 배경이나 음운체계 연구에 있어서 기본자료가 된다.

동국정운
동국정운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073 금동삼존불감  (0) 2023.10.19
국보-072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  (0) 2023.10.18
국보-070 훈민정음  (0) 2023.10.16
국보-069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0) 2023.10.15
국보-068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0) 2023.10.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