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68호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Cloud and Crane Design )
상감운학문 매병 위치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성북동, 간송미술관)
상감운학문 매병 개요
분류 |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 |||
수량/면적 | 1개 | |||
지정(등록)일 | 1962.12.20 | |||
소재지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성북동, 간송미술관) | |||
시대 | 고려시대(12세기 후반) | |||
소유자(소유단체) | **** | |||
관리자(관리단체) | 간송미술관 |
상감운학문 매병 설명
고려 매병(梅甁)은 중국 송(宋) 나라 매병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12세기경에 이르러서는 고려만의 풍만하면서도 유연한 선의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이러한 고려 매병의 양식은 이 작품에서 세련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높이 42.1㎝, 입지름 6.2㎝, 밑지름 17㎝의 크기의 매병의 구연부는 작고 낮으며 밖으로 살짝 벌어져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준다. 구연부의 아랫부분에는 꽃무늬를 둘렀으며 굽 위로는 연꽃무늬를 둘렀다. 몸통 전면에는 구름과 학을 새겨 넣었는데, 흑백상감한 원 안에는 하늘을 향해 날아가는 학과 구름무늬를, 원 밖에는 아래쪽을 향해 내려가는 학과 구름무늬를 새겼다.
학의 진행방향을 다르게 표현한 것은 도자기 표면이라는 일정한 제약을 넘어 사방으로 공간을 확산시켜 짜인 구획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추구한 듯하다. 이 같은 표현상의 변화 추구와 함께 문양처리의 능숙함에서 고려 도자기의 우수함과 고려인의 창의력을 엿볼 수 있다.
출처-문화재청
국보-067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국보 67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 Gakhwa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Gurye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위치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황전리) 구례 화엄사 각황전 개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
today-culture.tistory.com
국보-069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국보 69호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 Certificate of Meritorious Subject Issued to Sim Ji-baek )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위치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부민동 2가,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동아대학교박물
today-culture.tistory.com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070 훈민정음 (0) | 2023.10.16 |
---|---|
국보-069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0) | 2023.10.15 |
국보-067 구례 화엄사 각황전 (0) | 2023.10.13 |
국보-066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0) | 2023.10.12 |
국보-065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0) | 2023.10.11 |